[컴퓨터 구조] 0과 1로 숫자를 표현하는 방법
2023. 3. 8. 00:33ㆍ기술 창고/CS 지식
728x90
반응형
SMALL
컴퓨터는 기본적으로 0과 1의 정보로밖에 이해할 수 없다.
정보 단위
- 비트(bit) : 0과 1을 표현하는 가장 작은 정보 단위
- 프로그램은 수많은 비트로 이루어져 있다.
- n비트로 2^n 가지의 정보를 표현 가능하다.
- 비트보다 더 큰 단위를 사용한다.
- 워드(word) : CPU가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정보의 크기 단위 (32bit)
- 하프 워드 : 워드의 절반 크기
- 풀 워드 : 워드 크기
- 더블 워드 : 워드의 두 배 크기
이진법
- 0과 1로 숫자 표현하는 방법
- 숫자가 1을 넘어가는 시점에 자리올림.
- 예) 10101
- 1 -> 첫 번째 자리 수 1표시(2의 0승) : 1
- 0 -> 두 번째 자리수 0 표시(2의 1승) : 0으로 표시되었으므로 0
- 1 -> 세 번째 자리수 1 표시(2의 2승) : 4
- 0 -> 네 번째 자리수 0 표시(2의 3승) : 0으로 표시되었으므로 0
- 1 -> 다섯 번쨰 자리 수 1 표시(2의 4승) : 16
- 다 더하면 십진수 21의 결과가 나온다.
-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진법은 숫자가 9를 넘어갈 때 자리올림하는 10진법을 사용.
- 0과 1로 음수 표현하기 : 2의 보수
[정의된 공식]
[조금 더 쉬운 공식]
- 조금 더 쉬운 공식을 증명 -> 두 번 적용하여 원래의 양수값으로 나오는지 확인
# 의문점!
예) 5를 표현한 양수 0101과 음수로나온 0101은 같아보이는데 어떻게 판단하고 구분하는가?
ㄴ 레지스터에 플래그라고 하는 구분값을 가지고 판단한다.
- 플래그 : CPU 내부에 존재하는 플래그 레지스터에 표시되는 구분 값
16진법
- 이진법으로는 숫자의 길이가 너무 길어지기 때문에 나온 표현 방법.
- 컴퓨터의 데이터를 표현할 때 16진법을 많이 사용
- 수가 15를 넘어가는 시점에 자리올림.
# 16진수를 사용하는 대표적인 이유 : 2진수를 16진수로, 16진수를 2진수로 변환하기 용이하기 때문이다.
16진수를 2진수로 표현할 때 사용되는 비트는 4bit. (2의 4승)
[16진수 -> 2진수]
16진수를 2진수 네개로 표현한 후 붙이면 2진수로 변환 완료
[2진수 -> 16진수]
2진수 네개 단위로 끊어서 각각 16진수로 변환한뒤 붙이면 16진수로 변환 완료
728x90
반응형
LIST
'기술 창고 > CS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 구조] 명령어의 구조 (0) | 2023.03.10 |
---|---|
[컴퓨터 구조] 소스 코드와 명령어 (0) | 2023.03.09 |
[컴퓨터 구조] 0과 1로 문자를 표현하는 방법 (0) | 2023.03.08 |
[컴퓨터 구조] 컴퓨터 구조의 큰 그림 (0) | 2023.03.07 |
[컴퓨터 구조] 컴퓨터 구조를 알아야 하는 이유 (0) | 2023.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