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 창고/Kubernetes(18)
-
[Kubernetes] Pod 생성 및 실행
쿠버네티스로 서비스들을 관리하기 위한 Pod를 생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s://kubernetes.io/docs/reference/generated/kubernetes-api/v1.27/#pod-v1-core Kubernetes API Reference Docs kubernetes.io Pod Reference 주소에 들어가서 Pod에 관한 내용을 확인해봅시다. Pod에 대한 내용들이 나오는데 무슨 내용을 넣어야 될지 모르겠다면 위의 Example 버튼을 누르면 넣을 내용의 양식이 나오게 됩니다. 이 내용들을 yml파일에 넣어서 생성해주게 될 것입니다. 이제 git bash 에서 nano first-pod.yml 을 입력하여 Pod 설정 파일을 만들어주겠습니다. 저는 nano가 설치되어있어서 na..
2023.06.26 -
[Kubernetes] Pods (파드)
파드는 쿠버네티스의 가장 기본적인 개념 중 하나입니다. 파드는 간단하지만 설명하기에 어렵습니다. 간단히 말하자면 둘 이상의 container 로 이루어진 그룹이자 관리 기법입니다. 또한 공유 저장 네트워크도 가지고 있습니다. 쿠버네티스는 다수의 컨테이너들의 시작과 종료를 관리합니다. 이러한 관리 기법에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레플리카 세트, 서비스, 스테이트풀 세트 등등이 있습니다. 파드는 이러한 관리 기법의 기본 개념 중 하나입니다. 저는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쳐를 클라우드에 배포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우리가 배포하려는 모든 컨테이너들에게 각각 하나씩 파드를 만들어 줄 것입니다. 일종의 컨테이너의 포장지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따라서 파드가 적용된 컨테이너들은 컨테이너말고도 파드 그 자체가 되는 것이기도..
2023.06.26 -
[Kubernetes] docker 와 minikube container 실행
앞서 가상 머신 환경인 minikube를 설치하고 그곳에서 앞으로 시스템을 구축하고 운영하기 위해 설치 및 세팅을 완료했습니다. 이제 minikube를 실행하고 그 안에서 특정 image를 실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그 전에, 이 과정은 제가 따로 공부하면서 참고하고 있는 특정 개발자분이 만드신 내용들을 참조하고 있다는 것을 밝힙니다. 참고하고 있는 개발자 분이 만드신 image를 github에서 일부분 우선 확인해보았습니다. 그 중에 Dockerfile 이라는 파일을 확인해보겠습니다. 이 안에 제가 image 안에 포함하고 싶은 것들을 모두 기입합니다. 위의 예시 Dockerfile은 github 사이트에서 예시로 가져온 내용입니다. 해당 Dockerfile 내용 중 일부만을 사용할 것인데, 내용을..
2023.06.26 -
[Kubernetes] docker 와 minikube 초기 세팅
minikube 는 docker 의 편집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minikube 안에는 docker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docker 에 접속해서 설치한 minikube 가상 머신을 통해 그 속에 있는 docker를 사용하여 시스템을 운영할 것입니다. 이전에 minikube 설치가 이미 완료가 되었다는 가정 하에 minikube 초기 세팅 과정을 정리해보겠습니다. minikube 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이전에 정리한 방법대로 설치를 우선적으로 하고 설치가 되어있다면 minikube start 명령어를 입력해줍니다. 실행되는 데는 어느 정도의 시간이 걸립니다. minikube docker-env 명령어를 입력하여 어떤 환경 변수들을 설치해야 docker command line으로 minikub..
2023.06.26 -
[Kubernetes] 로컬 쿠버네티스 개발을 위한 미니큐브 설치와 쿠버네티스 초기 세팅
kubernetes 를 로컬 환경에서 구현하고 세팅 및 설치하는 과정은 생각보다 많이 어렵다고 알고있습니다. 저 또한 주로 사용하는 노트북 사양에서 하려고 하니 가상 머신에 대한 필요 메모리 양이 생각보다 많아서 노트북으로는 진행하지 못하고 결국에는 회사 데스크탑 컴퓨터를 사용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이 어려운 초기 세팅 과정을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Hyper V 사용 허용 시작 버튼에 오른쪽 마우스 클릭하고 앱 및 기능을 선택해줍니다. 앱 및 기능에서 프로그램 및 기능을 눌러줍니다. 프로그램 및 기능에서 Windows 기능 켜기/끄기를 선택해줍니다. Hyper-V 항목을 찾아서 체크하여 사용 허용을 해줍니다. Hyper-V 는 kubernetes를 사용할 때 가상 머신 스위치라고 하는 가상의 실행 환경..
2023.06.23 -
[Kubernetes] 쿠버네티스란?
요즘 개발 시대에 시스템을 컨테이너화하는 것이 유행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컨테이너라고 하는 것은 각 시스템을 운영하고 관리하는 가상의 독립적인 운영 환경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 중 컨테이너 기술을 사용하는 가장 대표적인 기술이 Docker 입니다. 이 Docker를 사용해서 많은 컨테이너들을 생성하게 되는데 프로젝트가 커지면 커질 수록 이 컨테이너가 과도하게 많아지기 때문에 일일히 관리하기란 어려운 일입니다. 따라서 쿠버네티스가 이러한 컨테이너들을 관리해줄 수 있는 기능을 제공 / 지원해줍니다.
2023.0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