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 창고(246)
-
@Controller / @Service / @Repository
@Controller / @Service / @Repository Spring Bean 객체를 만들 때 @Component 어노테이션으로 지정하여 해당 객체를 Bean 객체로 등록하고 생성해주었습니다. 하지만 더 나아가서 명확한 역할에 따른 스테레오 타입의 어노테이션들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어노테이션으로는 Controller, Service, Repository 가 있습니다. - @Controller :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아 비즈니스 로직을 수행하는 단계의 서비스로 매핑을 시켜주거나, 모델에서 데이터를 가져오기 위해 연결시켜주는 Bean 객체를 지정하는 어노테이션. - @Service : 비즈니스 로직을 본격적으로 수행하는 Bean 객체 지정 어노테이션. - @Repository : 모델에 데이터를 ..
2023.06.06 -
[SVN] IntellJ 와 VisualSVN 연동 및 외부 접속
이때까지 형상관리 툴이라고 한다면 100이면 100 Git 을 사용해왔습니다. 이전에도 그랬고 앞으로도 그럴 것입니다. 그러나 다른 형상관리 툴이 있다는 것을 알고 사용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또다른 형상관리툴인 SVN을 인텔리제어와 연동하는 과정부터 정리하면서 공부해나가도록 하겠습니다. 처음에 인텔리제이를 설치하고 시작할 때 초기 화면에 어떤 세팅을 할지 정하는 화면이 나오는데 여기에서 Get from VCS 를 눌러 아주 처음부터 SVN 환경으로 시작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하지만, 저의 경우에는 Git 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다가 SVN 환경으로 변경해서 해보려고 하기 떄문에 그 과정부터 시작해야합니다. 프로젝트를 생성한 상태에서 Shift 버튼을 두번 누르고 get from ..
2023.06.04 -
[SVN] TortoiseSVN 로컬 환경 기본 사용법 - (1)
최근 Git 말고 SVN 이라는 중앙집중식 형상관리 툴을 알게되어 학습하고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SVN은 TortoiseSVN을 많이들 사용한다고 합니다. 따라서, TortoiseSVN 기본적인 설치 과정과 로컬 환경에서의 사용 방법을 알아보고 정리해보겠습니다. # 추가적으로, 로컬 환경이 아닌 외부와 연동하여 사용하려면 VIsualSVN이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해야 하는 것 같습니다. 즉, 로컬 환경에서는 VisualSVN 프로그램이 필요없다는 사실! (1) TortoiseSVN 설치 https://tortoisesvn.net/downloads.html Downloads · TortoiseSVN download TortoiseSVN tortoisesvn.net TortoiesSVN 다운로드 페이지에 들어가..
2023.06.03 -
[SVN] SVN 기본 용어 정리
SVN 기본 용어 1. CheckOut 저장소에서 최신 버전의 소스코드를 최초로 받아오는 것. 2. Update 로컬 저장소에 있는 파일들을 중앙 저장소의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3. Commit 로컬 저장소의 변경된 내용을 서버, 중앙 저장소에 반영. 4. Merge 내가 작업한 부분과 다른 사람이 작업한 부분을 병합합니다. 5. Repository 프로젝트 파일 및 변경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소. 6. Revision 수정 후 commit 할 때마다 숫자가 증가하는 작업 번호. 7. Import 빈 Repository 에 파일을 넣어주는 것. 8. Export 버전 관리 파일들을 제외한 순수 파일들만을 추출하는 것. 9. Revert 로컬 저장소의 내용을 이전 상태로 되돌리는 것. 10. Add 버전..
2023.06.03 -
[SVN] SVN 이란?
SVN SVN은 SubVersion 단어의 줄임말로 중앙집중관리식 형상관리 소스 관리 툴입니다. 각각의 개발자들이 본인의 코드 변경 사항을 하나의 중앙 저장소 (Center Repository) 에 commit 하는 방식으로 운영합니다. 즉, 로컬 PC에서 커밋 시 중앙 저장소에 바로 반영되고 중앙 저장소에 있는 내용들을 다른 로컬 PC에 업데이트 시킬 수 있습니다. 이해가 직관적이라는 장점이 있지만 중앙 저장소에 문제가 발생될 경우에 서비스 자체가 중단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CVS라고 하는 형상관리 툴이 저장소의 파일들의 이름을 변경할 수 없는 한계, 디렉토리의 이동이나 이름 변경을 지원하지 않는 한계, 유니코드로 된 파일 이름을 제한적으로만 지원하는 한계점들을 가지고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
2023.06.03 -
[네트워크] FTP / SFTP
FTP 와 SFTP 모두 서버를 배포하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맛보기로 정보를 찾아보았는데 HTTP / HTTPS 와 비슷한 점이 있어서 왠지 모르게 기분이 좋고 친밀한 느낌이 들었습니다. ㅋㅋ 바로 S라는 알파벳이 붙어있다는 것인데 이 S 는 SSL이라고 하는 보안을 뜻하는 알파벳입니다. 즉, HTTPS 가 보안계층이 적용된 안전한 HTTP 프로토콜이라고 하는 것처럼 SFTP 도 보안이 적용된 안전한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이라는 것입니다. 이전 직장과 현 직장에서 FileZila 를 통해서 서버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때 각각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했습니다. 명확한 차이를 모르고 있던 참에 간단하게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FTP 보안이 이루어지지 않는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입니다. ..
2023.06.03